윈도우 11을 설치하면서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MS) 계정에 로그인하지 않고 설치를 완료해야 하는 상황이 있습니다. 기본 설정값은 꼭 로그인해야 하는데, 명령어를 입력하여 우회하는 방법을 통해서 설치하면 로그인 화면을 없앤 상태로 완료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11 MS 계정 특성
윈도우 11 버전을 처음 설치하거나 포맷 후, 클린 설치 및 복구를 할 경우에 MS 계정의 로그인 기본 설정값은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강제되어 있습니다.
즉, 기본 선택 옵션이 제공되어 필요에 따라서 건너띄기를 할 수 있는 게 아니라, 특별한 방법으로 우회하지 않으면 반드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처음부터 Microsoft 및 Onedrive를 사용해야 합니다.
물론, 개인적으로 윈도우 11을 사용할 때,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 중에서 메인으로 Onedrive(원드라이브)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회사 계정이나 필요에 따라서는 MS 로그인을 하지 않아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정확하게 알지 못하면 우회를 할 수 없기에 다음의 방법을 차근차근 따라 하신다면 쉽게 세팅할 수 있습니다.
부팅 도구 선택
윈도우 11을 사용 중에 복구 및 초기화(재설치)를 할 수 있고, 노트북이나 PC를 구입하여 처음부터 윈도우를 클린 설치로 진행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먼저, 노트북이나 PC를 처음 구매하여 설치할 때는 부팅 옵션의 선택 여부 없이 바로 윈도우 11 설치 화면으로 들어갑니다.
하지만, 복구 및 재설치 등의 초기화를 할 때는 대부분 USB 부팅 디스크와 같이 외부 미디어를 활용해야 하는데, 굳이 바이오스(Bios)에 진입하지 않아도 처음 켤 때, F10을 연타하면 부팅 도구(미디어)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 및 팝업창을 볼 수 있습니다.
제가 사용 중인 윈도우 11 LG 노트북의 경우, 단축키는 F10이지만, 디바이스나 상황에 따라서는 F8을 눌러야 할 경우도 있습니다.
알기로는, Bios Setup 화면으로 진입하는 일반적인 단축키는 Del, F2, F4 등이 있습니다.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로그인 화면 없애기 설치 방법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부팅 디스크로 USB를 선택하였고, 윈도우 11을 정상 설치 및 완료 후, 초기 세팅 화면으로 진입하였습니다.
로그인 화면을 없앨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와이파이(Wi-Fi) 비밀번호를 입력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만일, 와이파이 비번을 입력하면 처음부터 다시 해야 할 수 있으니 주의 바랍니다.

사진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네트워크 연결의 와이파이 비밀번호 입력 시, 비번을 입력하지 않고, Shift와 F10을 동시에 누릅니다. 즉, Shift + F10을 클릭하면 커맨드 창(명령 프롬프트, CMD)이 오픈됩니다.
명령 프롬프트 CMD에서 OOBE\PYPASSNRO를 입력합니다. 숫자는 없는 영문자이고, 소문자와 대문자의 구분은 없습니다.
그리고, \는 역 슬래시(백 슬래시)입니다. 상황에 따라서는 원화로 표기될 수도 있습니다.

해당 명령어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재부팅이 되고, 다시 윈도우 11 설치 화면으로 진입하게 되는데, 조금 전과는 다르게 네트워크 연결 화면에서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지 않음(I Don’t Have Internet..) 글씨 버튼이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지 않음을 선택 후, 다음 화면에서 지금 연결이 아닌, 제한된 설치로 계속을 클릭합니다. 이후에는 윈도우 11을 정상적으로 진행하시면 Microsoft 계정의 로그인 없이 설치를 완료할 수 있습니다.
함께 확인하면 좋은 글